728x90
AWS S3의 프리티어 조건입니다
바로 S3 버킷 생성으로 고고!
AWS 서비스들 중 S3 선택!
[버킷 만들기]를 선택해줍니다!
버킷이름은 나의 AWS 계정 내에서 고유해야합니다! 어떤 서비스를 위한 S3서버인지 기억하기 좋게 지정해줍니다 ㅎㅎ
퍼블릭 엑세스를 차단하면 외부 접속이 불가할것이기때무네! 저는 모든 퍼블릭 엑세스 차단을 비활성화 했습니당
저도 S3는 처음 구성해보는거라 잘 몰라서.. EC2를 해보셔서 아시겠지만!
생성할때 설정했던 모든 설정은 생성 후 수정이 가능하니까!
버전관리는 깃처럼 객체의 여러 버전을 동일한 버킷에서 관리하기 위한 수단! 이라고 하는데
일단 버전관리는 비활성화로 두었고,
암호화는 자동으로 새 객체를 암호화하여 저장한다고 하는데 역시
일단 비활성화로 두고
[버킷만들기]!!
버킷 만들기 끝~~
다음 포스팅에서는 버킷의 폴더를 구성하고 버킷 내 파일 업로드를 해볼게요!
728x90
'AWS 이용 기록 남기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AWS] S3 Nodejs 연동하여 외부 api로 파일 업로드하기!! (1) - IAM 사용자 추가 (0) | 2021.01.08 |
---|---|
[AWS] S3 버킷에 업로드 하기 (0) | 2021.01.07 |
[RDS] MySQL 사용자 추가, 데이터 베이스 생성, 권한 부여~ (1) | 2021.01.05 |
[RDS] AWS RDS MySQL 프리티어 생성 (1) | 2021.01.04 |
[EC2] AWS 인스턴스 접속 (0) | 2021.01.03 |